자궁내막증 수술 그리고 임신의 연관성은?
자궁내막증 수술 그리고 임신의 연관성은?
안녕하세요.
여성질환의 토탈솔루션을 제공하는 강남권산부인과/유방갑상선클리닉 Dr.권 입니다.
불임은 자궁내막증의 가장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입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에서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가임기 여성들의 자궁내막증 발병률은 약 10% 정도로 이러한 환자 중 약 30%가 불임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결혼 연령이 점차 늦어짐에 따라서 임신연령도 늦춰지고 있는 추세이며, 스트레스/환경적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난임 및 불임으로 고통을 받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자궁내막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불임의 발생률이 약 30%인 점을 감안하면 이는 결코 적은 수치가 아니며 임신이 된다고 하더라도 출산에 있어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임이 여성이라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내막증이란 여성호르몬의 자극에 반응하는 자궁내막선과 기질로 구성된 자궁내막조직이 자궁 외의 장소에서 증식하는 질환으로 쉽게 말씀드리면 자궁의 내막에 있어야할 자궁내막세포가 다른 곳에 위치한 것을 말합니다.
주로 극심한 생리통, 골반통, 성교통 , 난임 및 불임 등의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는데, 특히 자궁내막증에 의한 생리통은 통증의 강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심해지고, 생리하기 수일 전부터 토증이 시작하여 생리 기간 내내 혹은 이후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리통은 생리시작 2~3일전부터 시작하여 시작 직후 사라집니다.) 또한 통증이 생긴다는 것은 염증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간과하시기 보다는 병원으로 내원하셔서 정확한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궁내막증의 증상 및 원인에 대해서는 아래의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kangnamkwon.tistory.com/5?category=769246
자궁내막증은 난소에 혹이 생김으로써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난소에 혹이 생기면 정상난소 조직을 압박하며 염증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난소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 역시 난소 기능에 악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골반강(골반의 내강) 곳곳에 염증을 일으켜 자궁과 난소, 난관이 유착되게 만들고, 그 결과 자궁이 휘고 난관이 막히며 운동성이 떨어져 수정란이 정상적으로 내막으로 이동하지 못하여 난임 및 자궁외임신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궁내막증은 주로 수술을 통해서 치료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부인과 수술은 복벽을 절개하고 복강내로 들어가 수술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개복수술은 비록 복벽 절개 방법의 발달로 세로로 배를 절개하는 횡 절개 방법에서 팬티로 가려지는 부위를 절개하는 종 절개로 발달되어 미용상으로는 발전이 있었으나 개복 수술을 함으로써 복벽의 혈관과 작은 감각 신경들이 끊김으로 인한 복벽의 무감각, 가려움등의 고통이 발생하며 복강 내부 장기 즉 장관 등이 수술 중 건조되고, 수술자가 만지는 횟수가 많아짐에 따른 수술 후 유착 등이 문제가 되어 자궁내막증과 같은 잦은 재발이 있는 질환에서는 재수술이 매우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에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을 통한 치료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복강경수술 이란, 배꼽 부위에 1cm정도의 구멍
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하여 복강 내를 볼 수 있는 내시경(복강경)을 집어넣어, 그 복강경을 텔레비젼 모니터에 연결하여 복강 내를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수술하는 방법입니다. 수술 기구를 넣기 위하여 팬티에 가려지는 부위에 0.5cm정도의 2~3개의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하여 수술 기구를 집어넣어 일반 개복 수술과 똑같은 수술을 하는 방식입니다. 개복 수술과 달리 복강경 수술은 복벽의 신경이나 혈관 등의 손상을 거의 주지 않기 때문에 수술 후 무감각 혹은 가려움 등이 전혀 없으며 복강내 장기의 건조 위험이 없고 조작이 적어 수술 후 유착 및 고통이 적고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 정신적, 신체적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분들게서 복강경수술을 통해 자궁내막증을 치료하면 치료 후 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을 하곤 하십니다. 수술 후의 자연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며 여러 학자들의 복강경 수술 후 임신율을 종합하여 보면 약 52%의 수술 후 임신율을 보고하고 있고, 이중 경미한 자궁 내막증의 경우 61%, 중등도의 자궁내막증 수술의 경우 50%, 심한 자궁내막증 수술 시는 39%의 수술 후 임신율을 보였다고 합니다. 특히 심한 자궁내막증시는 높은 임신율의 증가로 이어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실제로 복강경 수술 후 임신한 사례가 국내외적으로 많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극심한 통증 및 심할경우 임신에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치료를 시작하기 전부터 지레 겁을 미루시고 치료를 미루시는 것 보다는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최근에는 좋은 약물치료도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비잔/로잔 등) 당장 수술을 고려하기 보다는 약물을 통한 치료도 적극적으로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궁내막증의 또하나의 문제가 바로 자궁선근증과 발생 원인이 동일하고 거의 함께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자궁선근증은 복강경 수술이 어렵기 때문에 치료에 대해서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런 경우 자궁내막증은 복강경 수술과 함께 약물치료로 진행하고 자궁선근증은 하이푸 시술로 함께 치료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 및 복강경수술에 대하여 더 궁금하신 사항은 강남권산부인과를 통해 문의주시길 바랍니다.
'자궁질환 > 기타 자궁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정상적인 자궁출혈 : 생리때가 아닌데도 피가 나온다면 (0) | 2019.03.12 |
---|---|
생리 덩어리혈, 건강 및 여성질환을 체크해봐요. (0) | 2019.01.23 |
자궁경부암예방주사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를까? (0) | 2018.12.03 |
자궁경부암 검사 주기적으로 받아야 하나요? (0) | 2018.11.21 |
자궁내막증과 자궁내막증식증 비슷하지만 다른질환 (0) | 2018.10.10 |